창업_Start Up/창업전

창업지원, 예비창업패키지 사업제안서 작성 세부 가이드 (Part 2)

Life Seeker 2023. 9. 23. 23:37

((Page 4)) 본문 3. 사업화 방안

1) 비즈니스 모델(BM) : 첫번째는 매출을 만드는 대상이 기업인지 일반소비자인지, 혹은 정부기관 인지를 명확히 한 후, 해당판매 방식을 정확히 한다. (예를 들면, 기업대상의 B2B 판매라고 한다면 해당 기업에 SaaS 형태 혹은 API형태로 판매할 것인지 정한다.) 그리고 수익확보 방안에 있어 단순한 판매방식 뿐만 아니라 전략적인 부분이 가미 되어야한다. 예를 들어, 프리미엄(Free+Premium) 방식으로 무료 1개월 이후 유료전환 방식의 구독서비스로 하고 수익 극대화 방안으로는 OTT나 챌린지 앱과 같이 구독하고 실사용량이 적은 경우를 들 수 있다.


2) 목표시장 진출 방안 :  해당 비즈니스 모델의 시장 구도에 대한 창업자(팀)의 인사이트가 담겨 있어야한다. 이에 따른, 홍보방안, 유통방안, 가격정책 등에 대한 판매방안을 작성한다. 즉, 상품 고객의 특성에 따라 홍보채널이 달라지고 고객의 상품 구매 채널에 따라 유통방안이 정해진다. 그리고 경쟁사 및 고객 분석에 따라 가격 저항선을 작성함으로써 예비창업자의 전문성을 어필하는 것도 주요하다.

((Page 5) 본문 4. 사업추진일정

1) 사업전체 로드맵 : 상품 및 서비스를 출시하고 실제 매출이 나는 시점을 역순으로 필요한 각 단계와 시점을 작성하면 된다. 예를 들면, 기획 - 제작 - 출시 - 홍보채널 - 판매채널 순으로 매출실현을 위한 과정을 단계별로 보여주는 것이 주요하다.

 

2) 협약기간  목표  달성방안 : 위의 2-1에서 언급한 “협약기간  산출물 내용이 일치해야 한다협약기간  산출물달성을 위한 추진 내용을 단계별로 작성하면 된다작성 팁으로 위의 사업전체 로드맵에서 제품 출시를 목적으로 “기획 - 제작출시   세부적으로 단계를 나누어서 작성하면 된다.

 

((Page 6)) 본문 5. 자금 소요 및 조달 계획

1) 자금 소요계획 : “협약기간 내 산출물”을 만들기 위한 소요자금 내역으로 예비창업패키지의 경우 정금지원금 최대 1억원, 평균 50백만원 한도 이내로 작성한다. (일반적으로 평균 50백만원으로 조정이 되더라도 최대 1억원으로 작성하는 것을 추천한다.) 사업비 집행계획의 대부분은 인건비 60%, 재료비 30%, 기타 10% 정도로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 기타 자금 조달 계획 : 본 지원사업 이외 창업자(본인) 부담금 혹은 추가적 자금 조달 (민간 투자사 혹은 타 정부지원금 등)으로 창업자(본인)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Page 7)) 본문 6. 대표자 및 팀 현황

1) 대표자 현황  보유역량 : 창업자(본인)의 전문성, 역량 그리고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 주요하다. 창업자(본인)의 학과, 전공 및 경력 분야를 통해 전문성을 보여주고 해당 분야에서의 성과를 통해 역량을 보여주면 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전문성과 역량을 가지고 성공적인 창업을 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어야 한다.

2) 팀 현황  보유역량 : 고용 예정 인원 등에 대한 직무와 채용 일정에 대한 내용이다. (단, 1인 예비창업자의 경우, 대표자의역량, 보유 기술 및 장비 등을 중심으로 기재한다.)그리고, 창업자(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성공적인 창업에 필요한 기술, 마케팅, 판매 등의 업무 파트너 현황을 기재한다.

 
728x90
반응형